안녕하세요? 에스텔잉글리쉬 대표강사 에스텔입니다. 오늘은 소리감각 두 번째 영어 발음에 관한 칼럼
입니다.
영어에 알파벳이 총 몇 자인 줄 아세요?^^ 바로 26자예요! 이 영어 알파벳들을 하나하나를 어떻게 소리 내는
가 배우는 게 영어 발음이에요. 우리가 보통 영어 공부하면서 발음을 배울 때는 영어 발음끼리의 차이를 배워
요. P와 F의 차이, L과 R의 차이 등 토익 공부하면서도 많이 배우는 게 이런 발음 차이지만 막상 내가 발음을
할 때 자신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세요. 제 스피킹 클래스 초급반에도 "이젠 자신 있게 영어 발음하기"를
목표로 오시는 분들이 꽤 되시거든요.^^
10년을 영어공부를 했지만 영어 발음은 여전히 힘든 우리들... 우리 한국인들은 왜 그렇게 영어 발음을 하기
가 힘들까요?
세계지도의 가장 서쪽에 있는 미국과 가장 동쪽에 있는 한국의 거리 차이만큼 한국어 발음과 영어 발음은 정
말 정말 다릅니다. 미국이나 영국과 가까이 있는 유럽권 나라들은 영어를 배우기가 더 쉬운데, 자기 나라 언어
의 발음과 영어 발음이 비슷한 경우가 많거든요.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 발음은 정말 달라요. 왠지 J발음과 ㅈ
발음이 비슷할 것 같아서 그렇게 발음하지만 그 두 발음은 정말 다르거든요. R발음과 ㄹ발음이 비슷할 것 같
지만 그렇게 발음하면 원어민이 알아듣지를 못하죠.
발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영어 소리의 시작이었던 발성, 즉 말을 할 때의 시작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. 지난
번 글이었던 영어 발성 내용을 보고 오신 분들은 더 이해가 쉬울 텐데, 한국어는 흉식호흡 = 목으로 내는 소리
고, 영어는 복식호흡 = 배로 내는 소리예요.
한국어는 소리가 시작되는 곳이 더 위쪽이라서 한국어는 입 앞(이빨 쪽)에서 발음되는 경우가 많고, 영어는
소리가 시작되는 곳이 더 아래쪽이라서 입 안쪽(목구멍 쪽)에서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요.
한번 테스트해볼게요. 아래 문장을 읽어보세요!
♬ 안녕하세요? 나는 한국인입니다.
이번에는 내 혀가 어디에 닿는지 느끼면서 한번 더 읽어보세요.
♬ 안녕하세요? 나는 한국인입니다.
혀가 어디에 있나요? 앞니 뒤 혹은 앞니와 잇몸이 만나는 곳에 혀가 자꾸 닿지 않나요? ^^
그런데 영어는 혀가 더 뒤쪽이에요. 이번에 혀를 일부러 "최대한 뒤쪽"에 대려고 하면서 말해보세요. 일부러
과장해서 차이를 느끼려고 해보는 거예요. 약간 "언령 허세여~ 나눈 헌쿡인입니다" 이런 식으로 발음되지 않
나요? 한국말을 못하는 외국인 같은 느낌이 드실 거예요.
한국어와 영어의 혀 위치 차이는 재미있게도 성경모임에서 발견했었어요. 성경모임에서 한 주에 한번 만나
저를 포함한 조원 4명이 돌아가면서 한국어 성경책 창세기 구절을 읽어야 했어요. 그런데 제 옆에 앉은 조원
의 옆모습을 우연히 자세히 보게 되었는데 혀가 앞쪽에 닿는 것 같은 거예요. 그다음이 제 차례에서 제가 신경
써서 읽어보니 정말 제 혀가 계속 앞니에 닿더라고요! 이것을 발견했을 때 정말 유레카를 외치고 싶었죠. 그전
에는 신경 쓰지 않고 그냥 발음했던 한국어 혀 위치를 알게 된 후 일부러 영어 발음을 혀 앞쪽에 대고, 뒤쪽에
대면서 녹음을 해보았고 혀를 뒤쪽에 댔을때 더 영어적으로 들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. 그래서 원어민 친구
에게 발음할 때 혀의 위치가 여기가 맞냐고 물어봤을 때 자기도 평소 신경 쓰지 않던 부위라 한두 번 해보더니
어? 너 어떻게 알았어?라는 얘기를 듣기도 하고 또 유튜브를 뒤지다가 영어 발음을 가리키는 미국인의 UCC
에서 확인하기도 했었죠.
♬ Live
이 영어단어를 한번 말해볼게요.
먼저 한국어처럼 해볼게요.
♬ 리브
앞니 뒤에 혀가 닿죠? 영어식으로 하려면 혀가 앞니 뒤에 닿으면 안돼요. 입천장에 닿아야 해요.
♬ Time
이 단어를 한국식으로 말해볼게요.
♬ 타임
혀가 앞니 뒤에 닿죠? 하지만 영어는 더 뒤에 대야 한답니다.
수업에서처럼 자세하게 글로 적을 순 없지만 수업 영상으로 보여드리려고요.
이렇게 혀가 닿는 곳이 같은 발음이 L, N, D, T가 있어요. 소리 차이를 영상에서 확인해보세요.
※ L. N. D. T 영어식 vs 한국식 발음 차이
위에서 말한 것처럼 "한국인이 영어 발음하기가 어려운 이유"는 영어의 입 속 조음기관과 한국어의 조음기관
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에요. 따라서 "영어 발음 이렇게 하세요"하고 배워도 우리가 영어를 계속 말하는 게
아니라 한국어를 계속 말하다가 갑자기 영어로 말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머리로 배운 것은 거의 까먹기가 쉬
워요.
기억을 하고 진짜 내 몸으로 배우고 무의식 중에도 그렇게 발음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식 발음과 영어식
발음의 차이를 자꾸 일부러 발음해봐야 해요. 또 그렇게 입으로 배우는 게 더 재미있기도 하답니다.
J발음을 배워볼게요. J발음을 예전에 배웠던 것도 같은데 가물가물 하시죠?
제 친구 이름이 유진인데 원어민 친구에게 Yujin이라고 하면 잘 못 알아듣는데요.
왜냐하면 j를 한국어 ㅈ처럼 발음하면 원어민이 못 알아들을 수 있거든요.
영상에서 한번 확인해보실게요.
2017년 오프라인 강의 발췌 - 올바른 J 발음
이번에는 h발음을 배워볼게요.
H는 한국어 ㅎ과 비슷할 것 같죠? 하지만 전혀 달라요. 영상을 한번 확인해보세요!
※ 2017년 오프라인 강의 발췌 - 올바른 H 발음
불어 같은 서양어, 심지어 중국어에도 영어와 비슷한 발음들이 있어요. 혀가 뒤에 위치하거나, 입술을 모아주
거나, 복식으로 발음하는 것들이 있어서 그들은 좀 더 쉽게 배우죠. 하지만 한국어는 대부분 혀가 앞니 뒤에
대면서 입 앞쪽에서 하는 발음이기 때문에 영어 발음과 전혀 비슷하지 않은 발음들이 많아요.
우리가 말을 할 때 입과 혀, 조음기관의 미세한 근육들을 쓴답니다. L 발음이 혀를 뒤에 댄다는 것을 배웠어
도 바로 뒤로 가지 않으시는 분들도 많아요. 왜냐하면 그쪽까지 혀를 늘려본 적이 없기 때문이죠. 근육들도 단
련되는 거기 때문에 안 써본 조음기관들을 자꾸 쓰면서 연습해야 돼요. 우리가 한국어 조음기관의 근육을 단련
하기 까지도 시간이 걸린답니다. 그래서 애기들이 처음에는 웅얼거리고 혀 짧은 소리, 애기같이 부정확한 발음
소리를 내다가 4~5살 때쯤 되어야 비로소 그 근육들이 단련되어서 한국어 발음을 할 수 있게 되는 거든요.
이렇게 입으로 연습하면서 어느 정도 지나야 영어 발음이 완전히 내 것이 될까요? 저희 수강생분들을 보면 빠르
면 1~2주에도 고치고, 완전 한국식 발음이었던 분들은 영어식으로 되기까지 보통 2~3달 정도 걸려요. 제가 수업
에서 수강생분들의 발음 녹음을 듣고 한 분 한 분 발음 교정 피드백을 해드리는데 어제 한 반의 발음 피드백을 하
면서 스스로 감동받았다니까요. 50대분들이 계시는데 처음엔 한국식 발음이 많이 묻어났었고, 또 사투리라는 제
약도 있으셨는데 첫 달 둘째 달 많이 고생하시더니 셋째 달 숙제에서 자음 발음들이 모두 교정된 것을 보고 정말
큰 가능성을 봤었어요. 수강생 분도 처음엔 발음교정이 정말 어려웠는데 이제 발음은 스스로도 만족스럽게 된 것
같고, 이젠 악센트 연습을 열심히 하겠다고 말씀하셨답니다. ^^
발음을 익히고 나면 기초 뿌리가 단단히 쌓인 것과 같습니다. 나중에는 다양한 표현들을 익히면서 하고 싶은 말을
다 하고 자유로워져야 하는데 발음연습을 해두지 않은 상태에서 쉬운 단어들을 괜찮지만, 어려운 단어가 나오면
받아들이기가 힘들거든요. 이 뿌리가 없으면 스피킹 왕초보~초보까지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그 이상을 벗어나기가
힘들어요.
게다가 이렇게 한국식 발음 영어식 발음 비교하면서 각 발음들의 포인트를 배우면 재미있기도 하고 금방 쉽게 배울
수 있답니다. ^^
다음번 글을 소리감각 3번째 악센트에 관한 글이에요. 소리감각 4번째 음절까지 하고 나면 그 후에는 어순 감각으로
문장 만들기에 대한 칼럼이 나간 갑니다.
그럼 오늘도 영어 성장하시고요! ^^